은혜병원 스트레스 클리닉
마음 깊은 곳의 외로움까지 살피는 회복의 공간,이제는 혼자가 아닌 우리가 함께 합니다.
스트레스

스트레스란 '지나친 심리적 육체적 요구에 대한 개인의 적응 반응'이다. 즉 자신이 지각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신체적 정신적 긴장을 말합니다.
스트레스는 정신 건강의 가장 큰 주범으로, 적당한 스트레스는 생활의 촉진제가 될 수 있으나, 과도한 스트레스는 몸과 마음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스트레스는 건설적일 수도 있고, 파괴적일 수도 있습니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것입니다. 즉,이를 어떻게 다루는가 여부에 따라 우리들의 건강과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ㅇ_(2).png
ㅇ_(1)(0003).png
신체적 / 심리적 증상
ㅇ_(1)(0004).png
짜증,안달,분노,적대감.png
치료 프로그램
행동 전략
(behavioral strategy)
스트레스는 사건에 대한, 생리적 혹은 감정적 반응으로 개념화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관리도 이러한 요소를 다루어 줌으로써 가능합니다. 이완훈련(relaxation training), 점진적 근육이완(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생체되먹이기(biofeedback), 명상(meditation)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인지전략
(cognitive strategy)
사건에 대한 해석(예를 들면 나는 완벽해야 된다, 남앞에서 말하다가 실수해버릴 것이다)을 바꾸어 주어 스트레스와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특히 이러한 기법은 우울, 불안, 분노조절 등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운동
(exercise)
신체적으로 강해지는 것이 보다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도와줍니다.
영양
(nutrition)
규칙적 식사와 적당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하고,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고 지방을 피하며 당분섭취는 줄입니다. 자신의 체질에 맞게 카페인, 술, 약물의 양을 관리합니다.
지지적 정신치료
사회적 지지와 건강 사이에는 강한 연관성이 있으므로 지지적 정신치료가 스트레스 관리에 효과가 있음은 자명합니다. 유방암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집단정신치료의 효과를 연구한 Stanford 대학의 결과를 보면, 집단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평균 18개월 동안 생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결과는 지지적 정신치료가 스트레스에 대한 강력한 생리적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약물치료
스트레스 자체는 진단명은 아니지만 정확한 정신과적 평가가 내려진 후에 스트레스에 의해 고통받는 환자에게 항우울제와 항불안제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약물 자체가 적절한 스트레스 대응기술의 개발을 대신할 수는 없으며 다른 치료를 하면서 보조적인 방법의 하나로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